야외전시

홈 > 전시안내 > 야외전시 > 야외전시
 
야외전시
수원박물관 야외전시장에는 기관과 문중으로부터 기증받은 유물과 수원 관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유물을 옮겨와 전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수원에서 관리를 지낸 인물들의 업적을 나타내는 송덕비, 의장석물, 묘제석물, 생활 유물 등이 야외 곳곳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시민들이 익숙하면서도 잘 몰랐던 석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으며, 아이들에게는 교육의 장으로서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역사적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송덕비
  • 의장석물
  • 묘제석물
  • 야외전시 유물

송덕비

수원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송덕비는 수원부사, 수원유수, 관찰사, 판관, 중군 등 수원을 다스렸던 관리의 업적과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불망비(不忘碑), 청덕애민선정비(淸德愛民善政碑), 청덕선정비(淸德善政碑), 애민선정비(愛民善政碑),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렀지만 그 뜻은 모두 동일하다. 원래 수원 곳곳에 흩어져 있던 것을 노송지대에 모아 두었다가 개관 시점에 박물관으로 이전하여 전시되고 있다. 당대 수원지역의 인물과 업적을 파악할 수 있는 금석학적 가치와 함께 시대에 따른 비석의 양식 변화를 살펴볼 수 있어 의미가 크다. 수원시에서는 송덕비 37기를 향토유적 제3호로 일괄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수원박물관에 27기, 수원화성박물관에 10기를 전시 중이다.

야외전시 선정비 사진   야외전시 선정비 사진
 

이시백(李時白) 선정비 [1581~1660]

조선중기 효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조암(釣巖)이다. 인조반정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으로 녹훈되었다. 1624년(인조 2)부터 1629년까지 수원도호부 부사로 재임하였다.
후에 병조판서,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629(인조 7)년에 세웠다.

구인후(具仁垕) 선정비 [1578~1658]

조선중기 효종대 무신으로 본관은 능성(綾城), 호는 유포(柳浦)이다. 1603년(선조 36)에 무과에 급제하고 1635년(인조 13)부터 1637년까지 수원도호부 부사로 재임하였다. 정묘호란 때 후금의 공격을 막아냈으며,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왕을 호위하였다.
이 비는 1638년(인조 16)에 세웠다.

임의백(任義伯) 선정비 [1605~1667]

조선중기의 효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풍천(豊川), 호는 금시당(今是堂)이다. 1649년(인조 27)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60년(현종 1) 4월부터 11월까지 수원도호부 부사로 재임하였다.
그 후 평안도관찰사, 공조참판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662년(현종 3)에 세웠다.

민진원(閔鎭遠) 선정비 [1664~1736]

조선후기 숙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단암(丹巖)이며 인현왕후의 오빠이다. 1691년(숙종 17)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1701년(숙종 27)부터 1703년까지 수원도호부 부사로 재임하였다.
좌의정,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고 『단암주의(丹巖奏議)』, 『연행록(燕行錄)』 등의 저서를 남겼다.
이 비는 1704년(숙종 30)에 세웠다.

이상진(李尙眞) 불망비 [1614~1690]

조선중기 숙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전의(全義), 호는 만암(晩庵)이다. 1645년(인조 23)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71년(현종 12) 1월부터 10월까지 수원도호부 부사로 재임하였다.
이조참판, 대사간, 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이 비는 1705년(숙종 31)에 세웠다.

권상유(權尙遊) 선정비 [1656~1724]

조선후기 숙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구계(癯溪)이다. 1694년(숙종 20)에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03년(숙종 29)부터 1704년까지 수원도호부 부사로 재임하였다. 후에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705년(숙종 31)에 세웠다.

김시근(金蓍根) 불망비 [1755~?]

조선후기 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흥지(興之)이다. 1802년(순조 2)에 병과로 급제하고 1820년(순조 20)부터 1822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유수 재임시절 정조천릉도감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비는 1822년(순조 22)에 세웠다.

남병길(南秉吉) 선정비 [1820~1869]

조선후기 철종대 대표적인 천문학자로 본관은 의령(宜寧), 호는 육일재(六一齋) 또는 혜천(惠泉)이다. 1850년(철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863년(철종 14)부터 1865년(고종 2)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시헌기요(時憲紀要)』, 『추보첩례(推步捷例)』 등 여러 천문관련 책을 남겼다.
이 비는 1865년(고종 2)에 세웠다.

이재원(李載元) 불망비 [1831~1891]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순팔(舜八)이며 흥선대원군의 조카이다. 1853년(철종 4)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흥선대원군 집권 때 6조의 판서를 지냈다. 1869년(고종 6)부터 1871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고, 시호는 효정(孝貞)이다. 이 비는 1871년(고종 8)에 세웠다.

정기명(鄭基命) 선정비 [1819~?]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 호는 석전(石篆)이다. 1864년(고종 1)에 수원판관으로 부임하여 1865년까지 재직한 후 안성군수로 갔다 1867년 다시 수원판관에 임명되어 1871년까지 근무하였는데 이때 삼정의 업무를 매우 잘 처리하였다고 한다.
이 비는 1873년(고종 10) 세웠다.

민승호(閔升鎬) 불망비 [1830~1874]

조선후기 고종대 척신으로 명성황후의 오빠이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복경(復卿)이며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1864년(고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872년(고종 9)부터 1873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호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874년(고종 11)에 세웠다.

민두호(閔斗鎬) 불망비 [1829~1902]

조선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驪興), 시호는 효헌(孝獻)이다. 1875년(고종 12)부터 1876년까지 수원도호부 판관으로 재임하였다. 이후에 여주목사와 춘천부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878년(고종 15)에 세웠다.

송근수(宋近洙) 불망비 [1818~1903]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은진(恩津), 호는 입재(立齋) 또는 남곡(南谷)이다. 1848년(헌종 14)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1874년(고종 11)부터 1876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라는 저서가 있다.
이 비는 1882년(고종 19)에 세웠다.

구완식(具完植) 불망비 [1825~1891]

조선후기 고종대 무신으로 본관은 능성(綾城), 호는 미산(渼山)이다. 1851년(철종 2) 알성(謁聖) 무과에 급제하여 1881년 어영청(御營廳) 중군(中軍)을 지냈고, 1882년(고종 19)부터 1884년까지 수원영 중군으로 재임하였고 후에 병조참판, 어영대장 겸 금위대장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885년(고종 22)에 세웠다.

정기세(鄭基世) 선정비 [1814~1884]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 호는 주계(周啓)이다. 1837년(헌종 3)에 정시 병과에 급제하여 1879년(고종 16)부터 1882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강화유수, 전라도관찰사, 병부판서, 우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이 비석은 1888년(고종 25)에 세웠다.

윤자덕(尹滋悳) 불망비 [1827~1890]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국헌(菊軒)이다. 1848년(헌종 14) 증광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여, 1887년(고종 24)부터 1889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이조판서, 통리기무아문당상, 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890년(고종 27)에 세웠다.

이헌직(李憲稙) 선정비 [1839~1907]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문우(文愚)이다. 1875년(고종 1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85년(고종 22)부터 1887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고, 병조정랑과 도총관, 전라감사, 봉상사장 등을 역임하였고,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이 비는 1891년(고종 28)에 세웠다.

김홍집(金弘集) 선정비 [1842~1896]

조선말기 개화파의 거두로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도원(道園)이다. 1867년(고종 4) 문과에 급제하여, 1880년 예조참의로 수신사가 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1889년(고종 26)부터 1890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비는 1892년(고종 29)에 세웠다.

민영상(閔泳商) 불망비 [1829~1901]

조선후기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與興), 자는 이경(伊卿)이다. 1872년(고종 9) 문과에 급제하여 1891년(고종 28)부터 1893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이 비는 1893년(고종 30)에 세웠다.

윤영신(尹榮信) 불망비 [1831~?]

조선말기의 고종대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공실(公實)이다. 1864년(고종 1)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조참판, 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890년(고종 27)부터 1891년까지 수원유수로 재임하였다. 이 비는 1893년(고종 30)에 세웠다.

이재극(李載克) 선정비 [1864~1927]

조선말기의 관료로 왕실 종친이다. 1893년(고종 30) 문과에 급제 후 1900년 1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관찰사로 재임하였다. 후에 법부대신, 학부대신, 내부대신 등을 역임하였다.
이 비는 1901년(광무 5)에 세웠다.

고객만족도 조사 suwon museum opinion

☏ 031-228-4150

페이지 만족도 조사

평점